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자동차 시트에 대해 - 비건가죽과 친환경

by FairyG 2024. 12. 25.

기업들의 초 장기 프로젝트 - 친환경/탄소중립 

자동차 업계에서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기 위한 노력으로 친환경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내장재 트림을 대나무나 폐 가구에서 나온 자투리 목재를 엮어 만들기도 하고 신발의 고무를 재활용해서 바닥과 트렁크매트를 만들기도 한다. 심지어 콩(soybean)을 기반으로 만든 스펀지로 시트 내부에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에 더해 탄소발생량, 화학 폐기물 발생을 줄이거나 재생에너지를 사용해 공장을 가동하는 등 친환경 제조공법을 도입하거나 개발을 하고 있다. 환경과 사회적 책임을 중요하게 여기는 노력은 지속가능한 환경을 만들고 긍정적인 소비자 반응을 이끌어내는 효과는 덤으로 얻었다.

 

 

비건 가죽에 대해

인간이 동물을 대하는 인식이 크게 변하고 있다. 동물 보호의 필요성은 꽤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지만 인간이 이득을 볼 목적, 가장 큰 예로 고기나 가죽을 얻기 위해 동물을 살육하는 것에 대한 반발심을 가진 사람들이 크게 늘었다. 동물성 제품을 완전히 배제하고 동물의 생명과 권리 존중을 실천하는 생활 방식을 비건(Vegan)이라고 한다.

 

자동차 시트는 고급 트림으로 올라갈수록 직물>인조가죽>천연가죽 순으로 올라간다. 당연히 이 순으로 원자재값이 올라간다. 천연가죽 시트는 그 특유의 착좌감이나 포근함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옵션이었는데 갑자기 '비건가죽 시트'가 등장했다. 비건가죽이 무엇인가? 

 

비건가죽은 동물로 부터 얻은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인조가죽이다. 동물을 해치치 않았기 때문에 윤리적이며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고 비건 트렌드에 올라타서 마케팅 포인트로 잡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폴리우레탄이나 PVC 같은 석유기반 합성소재로 만든 가죽도 비건가죽이라 칭할 수 있고, 합성소재 외에 옥수수나 파인애플 잎, 버섯, 선인장 등에서 얻은 천연소재의 가죽도 비건가죽으로 칭할 수 있다. 

 

 

 

 

문제는 내구성

테슬라의 비건가죽 내구성 문제

 

최신형 자동차는 석유화학계가 아닌 천연소재로 만든 비건 가죽을 사용한다고 소비자에게 홍보하고 있다. 비건가죽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제조사는 대표적으로 테슬라와 볼보,폴스타가 있다.

자동차에 들어가는 시트 가죽은 내구성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합성 소재가 꽤나 많이 추가된다. 가방이나 지갑에 필요한 내구성 수준보다 한참이나 높은 수준을 요구한다. 오염이나 습기, 온도변화, 자외선, 마찰, 탄성(복원력), 내화학성 등등 많은 외부 요소로부터 손상이 없는 스펙을 갖춰야 하기 때문에 천연소재 비건 가죽도 합성소재의 큰 도움을 받아야 한다. 촉감과 포근함은 전통적인 가죽을 많이 따라왔지만 진정한 친환경의 의미로서의 갈길은 아직 멀다. 극히 작은 부분의 친환경적인 요소를 가지고 기존 방식과 다르다고 주장하기에는 넘어야 할 숙제가 많다. 어쩌면 축산업의 부산물인 천연 소가죽을 폐기하는 것보다는 자동차 시트로 만들어내는 게 더 친환경적일 수도 있다. 비건가죽으로서 친환경이라는 유의미한 속성을 가지려면 시간과 노력이 조금 더 필요하다.

 

 

 

인식의 변화 또한 친환경으로 가는길

린넨과 같은 식물성 원사로 만든 원단이나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이나 페트병을 수거해 만든 시트는 친환경적이면서도 간단하며 가벼운 무게가 장점이다. 또한 이로 만든 시트는 직물시트로 제작되며 꽤나 고급스러운 느낌을 준다. 제조사는 소비자에게 직물시트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켜 다양한 친환경 원단이 적용된 시트를 선보일 필요가 있다. 천연가죽을 집착적으로 선호하는 우리나라 소비자들에게 더 고급스럽고 디자인적으로 자유로운 패브릭을 선보임으로써 굳이 가죽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고급스럽고 좋은 착좌감을 느낄 수 있다는 인식을 소비자에게 알려주면 좋을 것 같다. 그래서 더 이상 가죽과 유사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면, 자연스럽게 친환경 소재를 선호하는 시대가 오게 될 것이다.